우리가 OAuth가 왜 필요한지를 일단 먼저 알아야 한다. OAuth는 3자가 등장한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는 양자 간의 채팅이기 때문에 구현이 간단하다. 하지만 최근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톡과 같은 단체 채팅은 복잡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OAuth가 복잡하고 꼼꼼히 공부해야 한다. 1. 상황 제시 클라이언트가 나의 서비스를 통해 글을 작성한다고 하자.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User, 나의 서비스는 My라 칭하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의 서비스는 자동으로 Facebook이나 Google의 캘린더 같은 서비스(Their)에 자동으로 알림이 가도록 서비스해야 한다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보안이다. My는 User대신에 Their 서비스에 접근하여 제어할 수 있는 인증절차가 필..
몇일전 면접을 보러갔을 때 처음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서 질문을 받았다. 소셜 로그인을 구현한 것을 본 면접관은 OAuth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물었다. 그 질문을 듣고 난 후 깨달은 것은 내가 기능 구현에만 집중했지, 그 안에서 일어나는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OAuth의 동작원리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몇가지 자료를 찾아보았고, Tacademy에서 제공하는 OAuth강의를 바탕으로 공부해보겠다. 참고로, Tacademy에는 매우 뛰어난 현업 개발자들이 강의해주는 자료가 많기 때문에 한번씩 가보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 자료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9mhQYIlKEhezQKMF92r9GKFXWfoKYII8 토크ON 38차. ..
비전공자로 개발 공부를 하다 보며 느낀 점은 확실히 한계점이 보였다. 애플리케이션의 단순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는 지장이 없었지만, AWS를 통해 배포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개념의 필요성을 많이 느꼈다. 여기서는 네트워크에 관한 기초 용어와 개념에 대해 공부해 볼 것이다. 1. 네트워크란? 흔히 개발자가 아닌 일반인도 네트워크라는 말은 쉽게 접했을 것이다. 하지만 느낌적으로만 알 뿐 정확히 네트워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잘 모를 것이라 생각한다. 네트워크란 노드라고 불리는 장치들이 통신링크로 연결된 집합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사용하는 PC나 스마트폰도 노드인 것이다. PC나 스마트폰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많은 노드를 거쳐 사용되게 되는데, 이처럼 PC나 스마트폰 같이 마지..
Framework, Library, API 세 단어 웹 개발을 한다면 많이 접해보는 단어이다. 하지만, 정확히 세 단어의 차이가 뭐냐고 물어보면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힘들다. 대략, 느낌적으로는 Framework > Library > API의 순으로 스케일(?)이 큰 느낌이다. (나만 이런 느낌을 받나..?) 내가 알아본 바로, 나만의 방식으로 비유하여 작성해 보겠다. 1. Framework : 어떤 물건을 만드는데 필요한 틀, 뼈대라고 이해했다. 컴퓨터 본체로 생각한다면 케이스라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컴퓨터 케이스 안을 보면, 여러가지 하드웨어 부품을 연결하기 위해 정해진 위치가 있듯이, Application을 개발할 때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능을 편리하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보통 데이터베이스..
1. Servlet이란? - 자바를 이용해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자바기반의 프로그램(?). - 웹서버가 모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데,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아짐에 따라 처리할 수 없는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 - 일명 CGI (Common Gateway Interface)라고 불림. -> CGI : 웹 서버 상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HttpServlet 클래스를 상복받아 구현됨. 2. Servlet의 동작 과정 1) 클라이언트의 URL 요청. 2)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HttpServletRequest 객체 및 HttpServletResponse 객체 생성. 3) 요청된 URL을 배포서술자(DD, Deplyment Descriptor) 분석..
1. JSP란? - JavaServer Pages의 약자로 html에 자바코드를 작성하여 웹 서버에서 웹 브라우저를 관리하는 언어. - 웹서버에서 브라우저를 관리하기 때문에 동적으로 동작함. (HTML은 정적) - 자바를 그대로 사용가능. 마찬가지로 자바기반이기 때문에 플랫폼에 독립적. 2. JSP의 동작 과정 1) 웹서버에게 클라이언트의 jsp 페이지 요청. 2) 해당 요청을 웹컨테이너(Servlet 컨테이너)에게 넘김. 3) 기존에 요청된 JSP 파일인지 체크. -> 처음 요청 : JSP 파일을 Servlet 파일로 파싱 ->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 -> 이미 작업 : 파싱 과정을 생략하고 클래스 파일로 즉시 컴파일 4) 컴파일된 클래스 파일은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 5) 실행결과를 웹서버에게 전달...
- Total
- Today
- Yesterday
- 관리자 도구
- on('seek')
- Multi IN Clause
- login
- oauth
- SDK
- playsinline
- 로그인
- 예제
- @subselect
- list
- 의미
- 네트워크
- join subquery
- 원리
- @EventListener
- 자바
- API
- map
- Animation
- beforeunload
- 특징
- jwplayer
- 장점
- QueryDSL
- IN Clause
- playbackRate
- @subquery
- Queue
- SE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